근육통의 노예

조회 6741 추천 0 댓글 5
Extra Form

운동을 하면 근육통이 생겨서 또 안하고

생각나서 또 하면 근육통에 시달리고

ㅠㅠㅠ 운동해야하는건 아는데 근육통땜에 하기가 싫네요

  • ?
    hm 2023.08.08 11:57
    근육통이 생긴다는 건 근육이 자란다는 거임
    구조가 근육이 찢어졌다가 회복하면서 커지는 거라
    근육통이 있다는 게 운동 잘했다는 뜻임
    그리고 근육통 생기면 쉬는 게 맞음
    회복해야 근육이 늘지 계속 운동하는 거 아님
    그래서 빡세게 하는 사람들은 부위를 나눠서 하지 효율적으로 할려고
    그니까 근육 운동이라는 게 근육통을 인위적으로 만들고 회복하고
    다시 근육통을 만들고 회복하고 이거임
  • ?
    비타민D 2023.08.08 17:38
    @hm
    잘못된 정보입니다. 근육통이 생기는건 대사 스트레스로 인한 활성산소 때문임 이는 근육의 찢어짐과 아무 상관이 없음 근육통이 없어도 근육의 상처는 생기고 근육통이 있어도 상처가 생길수도 안생길수도 있음 따라서 꾸준히 하다보면 어느순간 근육통은 없음 그러니 꾸준히 하시고 잦은 근육통은 오히려 웨이트에 해가 되니 푹쉬고 잘먹고 잘자고 꾸준히 운동하셔요
  • ?
    hm 2023.08.09 08:57
    @비타민D
    활성 산소요? 활성 산소 얘기는 무슨 근거인가요?

    아래는 기사나 위키에 나온 근육통에 관련된 이야기들 입니다
    정리하면, 근육통의 전체 매커니즘은 아직 모른다, 하지만 통증 자체는 운동후의 미세한 손상이 원인이다
    이겁니다

    제가 의학적인 확신이 없어서 조심스럽긴 한데, 나름 근거를 찾아보고 얘기하는 겁니다
    님이 만약 의학 전문가가 아니라면, 근거가 뭡니까?
    아직 매커니즘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데 활성 산소로 인한 거라고 확정적으로 얘기하시니까
    제가 알아본 거랑 너무 다른 얘기에요,

    만약, 근거가 없다면 님이야말로 잘못된 정보를 함부로 단정지어 얘기하시면 안돼요

    참고로, 근육통의 종류는 다양하고 병에의한 근육통 같은 건 배제하고
    일반적인 운동 후 근육통에 대해서 이야기한 겁니다

    ---------------------------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300267&cid=40942&categoryId=32799

    지연발생근육통 [ DOMS(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요약 익숙치 못한 동작을 할 때, 근육에 불편함을 느끼는 손상.
    웨이트트레이닝 등의 강도 높은 운동을 한 후, 24~48시간 동안 나타나는 근육통이다. 근섬유의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어 조직에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2~3일 정도 휴식을 취하면 감소된다.

    ---------------------------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8/03/2023080302255.html

    근육통에 구토감까지… 하체 운동이 힘든 이유

    ...
    모든 근육은 성장할 때 통증을 유발한다. 통증의 원인은 근육을 이완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미세한 손상이다. 운동 후 근조직을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미세하게 찢겨 있거나 피멍이 들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근육은 이 손상을 회복하기 위해 단백질을 재합성하면서 커진다. 일반적인 근육통이라면 보통 2일 뒤에는 사라진다.

    ---------------------------

    [출처] :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95332 | 하이닥

    운동 후 평소보다 심한 근육통…근육 커지는 신호일까?
    입력 2023.05.26 18:00 김가영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운동 다음날 근육통을 겪을 때가 많다. 근섬유의 미세 손상이 원인이다. 우리 몸은 근섬유가 찢어지고 회복하는 과정을 통해 근육의 부피를 키운다. 근육통이 근육 증진의 신호일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정도가 심하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뻐근하고 욱신거리는 수준을 넘어 극심한 통증과 전신 피로감 등이 느껴지는 경우 근육 손상과 염증을 의심할 수 있다. 염증이 지속되면 근손실까지 이어질 수 있다.

    ---------------------------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Delayed_onset_muscle_soreness#Treatment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Mechanism
    The mechanism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but the pain is ultimately thought to be a result of microtrauma – mechanical damage at a very small scale – to the muscles being exercised.
    DOMS was first described in 1902 by Theodore Hough,[4] who concluded that this kind of soreness is "fundamentally the result of ruptures within the muscle".[2]: 63  According to this "muscle damage" theory of DOMS, these ruptures are microscopic lesions at the Z-line of the muscle sarcomere.[5] The soreness has been attributed to the increased tension force and muscle lengthening from eccentric exercise.[6] This may cause the actin and myosin cross-bridges to separate prior to relaxation, ultimately causing greater tension on the remaining active motor units.[6] This increases the risk of broadening, smearing, and damage to the sarcomere. When microtrauma occurs to these structures, nociceptors (pain receptors) within the muscle's connective tissues are stimulated and cause a sensation of pain.[7]
    ...
    Mizumura et al. argu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view, that muscle damage is a sufficient but not necessary condition for DOMS, and that a crucial role is played by the activation of the B2 bradykinin receptor–nerve growth factor (NGF) and the COX-2-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pathways.[10]

    지연성 근육통

    메커니즘
    미세 외상 지연성 근육통의 메커니즘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통증은 궁극적으로 운동 중인 근육에 대한 미세 외상(매우 작은 규모의 기계적 손상)의 결과로 생각됩니다.
    DOMS는 1902년 Theodore Hough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4]
    그는 이런 종류의 통증이 "근본적으로 근육 내 파열의 결과"라고 결론지었습니다. [2] : 63  DOMS의 이 "근육 손상"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파열은 미세한 병변 의 Z선에 있는 근육 근절 입니다 . [5] 통증은 편심 운동으로 인해 긴장력이 증가하고 근육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6] 이로 인해 액틴 과 미오신 교차 다리가 이완되기 전에 분리되어 궁극적으로 나머지 활성 운동 단위 에 더 큰 긴장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6] 이것은 sarcomere에 대한 확장, 번짐 및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미세 외상이 이러한 구조에 발생하면 통각 수용기 (통증 수용기)가 자극되어 통증 감각을 유발합니다. 근육의 결합 조직 내의 [7]
    ...
    Mizumuraet al.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기존의 관점과 달리 근육손상은 DOMS의 충분조건이지 필요조건은 아니며 B2 bradykinin 수용체 인 신경성장인자 (NGF)와 COX-2-의 신경아교세포주 유래 신경영양 인자 (GDNF) 경로. [10]

    ---------------------------

    [출처] : https://namu.wiki/w/%EC%A7%80%EC%97%B0%EC%84%B1%20%EA%B7%BC%EC%9C%A1%ED%86%B5

    1. 개요
    소위 '알이 배긴다'고 말하는, 심한 운동 이후 발생하는 근육통.

    2. 원인
    명확하게 검증되지는 않았으나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근육의 연결 조직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통증이 생기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
    id10ttt 2023.08.08 15:10
    헬스 하시는겁니까? 그럼 근육통을 즐거이 받아들이셔야죠 근육통=근성장 나중에 익숙해지면 어지간히 운동해도 근육통이 안와요 그럼 기분이 매우 안좋죠
  • ?
    빙빙돌아가 글쓴이 2023.08.16 17:20
    @id10ttt
    맞아욤 ㅍㅍ 헬스 시작했어용 ㅎㅎ 즐겁게 받아보겠습니다!
쑥덕쑥덕 자유게시판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029 러브버그가 익충이라면서요.. 6 펭귄또륵 2024.06.26 590 1
3028 육회.. 너무 먹고 싶은데 2 꿀핫정보보보 2024.06.26 449 3/-1
3027 저ㅓ 중학생이랑 고등학생 커플인데에 데이트 코스 추천해 주세여!!! 12 윤지 2024.06.26 981 0
3026 드디어 퇴근 2 중탕 2024.06.24 657 1
3025 재밌는 프로 앙꾸 2024.06.24 664 0
3024 출출한데 간식을 먹을까 고민이네요... 2 날으는갈매기 2024.06.24 624 0
3023 러브버그 징그러움.. 5 민콩콩콩콩콩 2024.06.24 1081 0
3022 알파플라이3 2 file 234234234 2024.06.24 803 0
3021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독 남녀의 나이차가 많이 나는걸 역겹게 봄 5 saromiz 2024.06.22 1444 4/-2
3020 한가인 어렸을때 맞고 자랐데여 13 file 요거트콩 2024.06.21 1959 -2
3019 오늘 저녁 날씨 선선하니 좋네요. file 234234234 2024.06.20 1352 0
3018 맛있는거 2 노랑파랑초록 2024.06.20 1346 1
3017 점보러 가면 다 믿나요? 5 앙꾸 2024.06.20 1413 -1
3016 아직 한여름 아닌데 2 바오파오푸바옹 2024.06.20 1395 0
3015 요즘 이상한 벌레들이 많이 보임.. 9 엄마쟤똥먹어 2024.06.20 1524 0
3014 살잘빠지는 방법 아시는분 11 요거트콩 2024.06.20 1506 -1
3013 손현주 어쩌나 5 file 요거트콩 2024.06.20 1769 0
3012 간만에 필동면옥갔는데 실망만하다가 왔네요 2 곰곰곰 2024.06.19 1593 0
3011 다들 저녁 뭐드시나용 ㅎㅎㅎ 4 펭귄또륵 2024.06.19 1455 0
3010 인공 지능 답변 분포 14 anonymity 2024.06.19 1703 -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2 Next
/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