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1891241355_cgYqOrNH_FEDC9E3E-85C3-42FA-94C3-F607A5E8371A.jpeg

 

1891241355_mgvS3JNZ_CD5D3ACF-BCC0-4166-8E64-1470D9293DD0.jpeg

 

  • ?
    econphd 2023.09.17 10:40
    미국에서 지내면서 해마다 치안이 안좋아지는 것이 느껴집니다.
    제가 사는 도시뿐만 아니라 다른 대도시들도 비슷한 상황인것이 수치로 확인되더라구요.
    세계 경제가 나아지고 있다는 것이 수많은 개도국 중심인지, 아니면 다른 선진국이 캐리하는 것인지, 만약 그렇다면 구체적인 삶의 질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다른 나라들이 팬더믹 이후 회복세라는 표현은 코로나가 한창 심할때 락다운으로 경제가 심각하게 침체된 적이 있는 바, 단순한 수치적 조정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듭니다. 일례로, 제가 지내는 도시는 코로나 한창 심할때 모든 도시기능을 락다운시키고 시장은 혼자 머리자르러 갔다가 이번 재선에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에 비추어볼때, 단순히 코로나 시기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고 그 이후 침체되는 것 자체만으로 어느 정부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은 진영논리에 매몰된 사고입니다. 다른 잘못된 것들을 한다는 것 하나만으로 경제성장률 모든것을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스스로가 진영논리에 매몰되기 이전에 사실관계를 파악하시길 바랍니다.
  • ?
    가카 2023.09.17 12:42
    기레기가 문제다.
    윤두창 때 경제 씹창나도 태평성태
    문재인 때 지금 상황이면 나라 망한다고 옘병을 떨었겠지
  • ?
    econphd 2023.09.17 11:32
    @미래가미래다
    뭐 구체적인 사례를 가져오시고 토론하시는 자세를 가지신다면야, 얼마든지 환영입니다. 정치가 아닌 정책으로서의 토론은 언제든지 반갑습니다. 제가 제일 싫어하는게 스스로가 정책을 보는 눈이 없는 사람들이 정책을 정치로 치환해서 편가르기 하는 것입니다. 무작정 어느 "정당"을 지지한다는 얘기로 생각하신다면, 심각한 오해입니다.
    제가 지내는 미국 도시도, 민주당 출신 시장으로서 그런 일을 하고 defund police라 하여 경찰 예산 삭감하다가 재선에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 ?
    econphd 2023.09.17 10:40
    미국에서 지내면서 해마다 치안이 안좋아지는 것이 느껴집니다.
    제가 사는 도시뿐만 아니라 다른 대도시들도 비슷한 상황인것이 수치로 확인되더라구요.
    세계 경제가 나아지고 있다는 것이 수많은 개도국 중심인지, 아니면 다른 선진국이 캐리하는 것인지, 만약 그렇다면 구체적인 삶의 질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다른 나라들이 팬더믹 이후 회복세라는 표현은 코로나가 한창 심할때 락다운으로 경제가 심각하게 침체된 적이 있는 바, 단순한 수치적 조정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듭니다. 일례로, 제가 지내는 도시는 코로나 한창 심할때 모든 도시기능을 락다운시키고 시장은 혼자 머리자르러 갔다가 이번 재선에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에 비추어볼때, 단순히 코로나 시기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고 그 이후 침체되는 것 자체만으로 어느 정부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은 진영논리에 매몰된 사고입니다. 다른 잘못된 것들을 한다는 것 하나만으로 경제성장률 모든것을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스스로가 진영논리에 매몰되기 이전에 사실관계를 파악하시길 바랍니다.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1:31
    @econphd
    일련의 사태를 보고도 이런소리를 하는것 보면 안타깝네요
    지식이 있으신것 처럼보이지만
    미국에서 우리나라기업을 대하는것만봐도
    러시아에서 우리나라기업을 대하는것만봐도
    왜그럴까 충분히 생각되는데 말이에요

    하나를 봤다고해서 열을 알수 없지만
    다섯까지 보여줬는데 판단을 못하면 지능입니다.
  • ?
    econphd 2023.09.17 11:32
    @미래가미래다
    뭐 구체적인 사례를 가져오시고 토론하시는 자세를 가지신다면야, 얼마든지 환영입니다. 정치가 아닌 정책으로서의 토론은 언제든지 반갑습니다. 제가 제일 싫어하는게 스스로가 정책을 보는 눈이 없는 사람들이 정책을 정치로 치환해서 편가르기 하는 것입니다. 무작정 어느 "정당"을 지지한다는 얘기로 생각하신다면, 심각한 오해입니다.
    제가 지내는 미국 도시도, 민주당 출신 시장으로서 그런 일을 하고 defund police라 하여 경찰 예산 삭감하다가 재선에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2:29
    @econphd
    구체적인 사례는 님이 가져오셔야될거같은데요
    잘하고 있는데 왜떨어지는지부터 분석해서 가져오시면
    제가 말씀드릴게요
  • ?
    econphd 2023.09.17 12:58
    @미래가미래다
    제가 잘하고 있다고 얘기한적 없습니다.
    오히려 "코로나때 우리나라 정부가 경제규모를 잘 유지했다"라는 것이 제 주장입니다.
    지금 정부의 잘못은 다른 기준으로 평가받아야지, 코로나 시기의 엉망인 다른나라를 기준으로 평가할 것이 아닙니다.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2:59
    @econphd
    그러니까 구체적인 사례를 가지고 오시면 성심성의 껏 토론해드립니다.
  • ?
    ㄱㄱㄱ 2023.09.17 12:13
    @econphd
    그러게요. 진영논리로 경제상황을 분석하려는것이 굉장히 잘못된 접근법인데..정부가 진영논리로 상황 해결하려고 앞장선다는게 문제죠.
  • ?
    econphd 2023.09.17 12:18
    @ㄱㄱㄱ
    뭐 제가 "지금" 정부의 잘잘못을 따지고 싶은 생각은 없으니 그건 정치게시판에서 하시면 됩니다. 그 부분은 지금 글과 전혀 다른 사안이니, 알아서 다른데서 떠드시면 됩니다.
    과거 이명박 정부때 나왔던 슬로건 "경제를 살리겠습니다"라는 말에 대해 '죽여야 살릴 수 있지"라고 반박하시던 분들이, 이런 자료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들이 과거 경제상황이 그만큼 죽었구나" 라고 얘기하기보다는, 지금 정부에 대해 한탄하시는 분들을 여기 게시판에서 많이 보았습니다. 당장 이 글만 해도, 지금 대통령 이름 적었다가 지운 댓글이 있었더라구요.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2:30
    @econphd
    아하 경제와 정치는 상관 없다고 생각하시는구나!
    아! 그런 사람이구나!!
  • ?
    econphd 2023.09.17 12:33
    @미래가미래다
    역시 이런 "오독"을 하시는 분이 나오실줄 알았습니다.
    지금 정부가 잘못하는 것 자체가, 다른 나라가 코로나 시기에 대응을 엉망으로 해서 GDP를 떨어트린 사실을 가리지 않습니다.
    한번 망하면 조금만 잘해도 "성장률" 자체는 끌어올리기 쉬우니까요.
    코로나 이후의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제일 쉬운 방법은 코로나 시기의 경제를 다 죽이면 됩니다.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2:38
    @econphd
    오독은 제가 아니라 님같은데요
    저는 제일 쉬운 방법을 이아기한게아니라
    잘한게 뭔지 보여달라는건데
    그 전의 외교와 비교하면 알수있는데
    전에 망쳐야지 바닥친다는 소리하는게 굉장하네요
  • ?
    econphd 2023.09.17 12:55
    @미래가미래다
    제가 전하는 메세지는 명확합니다.
    1. 다른 나라들은 코로나 시기에 대응이 너무나도 엉망이었다.
    2. 그 결과 코로나 이후에 똑같이 엉망으로 대응해서 치안이 역대 최악으로 치달아도 경제는 성장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3. 오히려 "성장률" 자체로만 보면 코로나 시기에 선방한 경제를 유지하는 것이 코로나 이후의 성장률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4. 3의 요인이 있다고 하여 그 자체가 정부의 잘잘못을 평가하는 데에 다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2:57
    @econphd
    그러니까 사례를 가져오시라구요.
    본인은 사례를 찾으시면서
    그걸 사례라고 생각하시나요?
  • ?
    econphd 2023.09.17 13:01
    @미래가미래다
    https://www.imf.org/en/News/Articles/2022/05/12/CF-Korea-strong-policies
    코로나 시기에 경제규모를 줄이지 않은 정책들이 과거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잘 대응한 것입니다.
    그 결과 엉망인 나라들은 상대적으로 포스트코로나에 경제성장률이 좋게 나타나는 것이구요.
    다시한번 적지만, 이런 통계적 현상을 이야기한다고 해서, 제가 "지금" 정부가 잘한다고 한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4:12
    @econphd
    선생님 저거 읽어보기는 하셨습니까?
    아니면 저걸 그렇게 해석하신겁니까?
  • ?
    XAII 2023.09.17 12:45
    @econphd
    그 말씀은 결국 일부러 죽이고 있다는?
  • ?
    곰곰곰 2023.09.17 12:58
    @econphd
    일단 저도 당신이 뭔 이야기를 할려고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1. 미국의 치안이 안좋아진다는 이야기를 하셨는데
    치안은 경제 성장률보다 경제적으로는 소득불균형이 심할수록
    치안은 안좋아진다는게 일반적인 이야기입니다
    경제성장률이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치안이 안좋다면
    미국이나 유럽의 나라들보다 동남아 같은 국가들의 치안이 압도적으로 더 안좋아야 합니다
    심지어 우리나라나 대만도 미국이나 유럽보다 치안이 안좋아야하죠

    치안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경제적으로 소득수준 경제성장률보다 더 중요한게
    경제불평등 더 큰 이유가 됩니다
    이걸가지고 미국의 경제가 안좋아졌다걸
    몸소느낀다고 이야기를 하는거면
    경제적인 지식이 부족하다고 밖에는 이야기 드릴수가 없습니다

    2.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는걸 이야기할때
    대표적인 지표가 GDP 성장률 지표입니다
    이게 모든걸 이야기할수는 없지만
    그래도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그런데 이걸가지고도
    "나는 인정할수없다"라고 이야기를 하신다면
    더 이상의 토론이 불가능하죠
    통계적으로 나온 지표인데
    그걸 가지고도 "인정할수 없어" 라고 이야기 하신분과
    뭔 이야기를 해야 합니까?

    3. 뭔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글을 쓰신건가 하고
    댓글들을 읽어보니
    기저효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계시던데
    코로나 시절 경제성장률이 높아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낮다라는 이야기를 하실려면
    작년에 하셨어야 합니다
    이건 올해의 지표입니다
    코로나시절 2020년의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OECD국가 1위인것은 맞습니다
    그로 인해 그 기저효과로
    2021년의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OECD국가중 16위이죠
    그런데 올해는 2분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OECD 국가중 20위까지 떨어졌습니다
    기저효과가 나온다면 작년에 나왔어야지
    올해 일어날일은 아니죠
    그리고 우리나라는 OECD국가중에서는 성장률이 높은편에 속하던 국가였습니다
    그런데 20위까지 떨어졌다면
    글 내용처럼 나홀로 추락하고 있는게 맞지 않습니까?

    마지막으로
    뭔 이야기를 할려고 하신건지도 모르겠고
    내용도 맞는 내용이 거의 없는 댓글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데도 저렇게 추천수가 많다는게 참 신기하네요
  • ?
    econphd 2023.09.17 13:09
    @곰곰곰
    1. 다른나라의 상황을 모르신다면야 그런 이야기들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미국은 작년까지도 코로나를 극심하게 겪고 있었습니다. 바이든이 무료 코로나 진단키트 뿌려서 저도 받은적만 세번이 넘고 (저도 작년에 걸려서 고생하기도 하면서, 혜택을 보기도 했네요), 그에 따른 경제적 제한 또한 남아있었습니다. 한국은 영업제한이 2022년에도 있었나요?? 그러한 효과들이 없어진 것이 올해까지 영향이 충분히 있습니다. 기저효과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나라들에 대해서도 적용해야 하는 효과라는 얘기입니다.
    2. 뭐 소득불균형과 치안얘기는 충분히 좋은 이야기입니다만, 단기시계열에 있어서 국가간 비교는 대개 설명력이 높지 않은 변수로 작용합니다. 한 국가 내에서 짧은 시기 변화를 설명할때에는, 정책이나 대내적인 환경의 변화가, 국가간 변수 비교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지닙니다.
  • ?
    곰곰곰 2023.09.17 13:20
    @econphd
    1. 미국이 작년에 한국보다 먼저 코로나에 대한 규제를 풀기 시작했고요
    이동의 제한하는 규제 또한 미국이 한국보다 먼저 풀었습니다
    이건 기사를 검색하시면 다 나올 내용들 입니다

    2. 저와 이글은 치안의 문제를 이야기하는게 아닙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고
    심지어 우리나라보다 더 성장한 나라들에 비해서도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겁니다
    치안의 문제라던가 다른 정치적 문제를 이야기 하고 싶으시면
    정치게시판으로 가세요

    3. 우리나라는 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OECD 국가중에서도 경제성장률이 OECD 가입 이후에 줄곧 상위권에 있던 국가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2년만에 중위권으로 떨어졌습니다
    이 짧은 시기동안의 한국의 변화를 설명할려면 뭐로 설명해야 할까요?
    본인이 이야기 하신
    [정책이나 대내적인 환경의 변화가]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니
    위에 댓글분들도 정치이야기를 하신겁니다

    이래도 이해가 안가시나요?


    플러스로 미국의 치안 이야기를 계속하시니
    이야기를 더 하자면
    미국의 치안은 2000년이후 꾸준하게 안좋아졌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2000년이후 미국의 불평등은 점점 더 심해지고 있고요
    이건 단기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미국의 불평등 문제와 그로 인해 생기는 미국의 치안문제는요
    본인이 코로나 이후 이렇게 변했다고 느끼는것이지
    통계를 보면
    2000년이후 꾸준하게 안좋아지고 있다는걸 아실수있습니다
  • ?
    econphd 2023.09.17 13:23
    @곰곰곰
    뭐 미국에 사는 저보다 직접 각 주정부의 결정을 더 잘 아시는 분이신가보군요. 규제는 이동제한이 전부가 아닙니다.
    경제성장률 얘기도 여기 각 정부들의 정책이 참으로 엉망입니다. 저보다 인터넷 검색으로 많이 아신다면야, 존중합니다.
  • ?
    곰곰곰 2023.09.17 13:29
    @econphd
    토론을 할때
    자신의 주관적인 생각이
    객관적인 통계보다
    더 맞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뭘 이야기를 해도
    토론이 되지 않죠

    자신의 주관이 통계보다 더 맞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토론이 될거라
    저도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도
    댓글을 쓴 것은
    저런 사람의 말을 보고도
    저 사람의 말이 옳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
    댓글을 쓴것입니다


    영국에서 우리나라의 말 꼰대를 정의할때
    이렇게 설명하더군요
    "늘 자신은 옳다고 믿고 타인은 항상 잘못했다고 생각하는 나이 많은 사람"

    객관적인 기록과 통계와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두고도
    자신이 맞다고 생각하는 사람
  • ?
    econphd 2023.09.17 13:47
    @곰곰곰
    맞습니다. 다른나라 기저효과도 고려해야한다고 얘기해도 들을 생각이 없으면 대화가 어렵죠.
    한국은 이제 낮이던데 좋은 오후 보내시길 바랍니다.
  • ?
    미래가미래다 2023.09.17 14:13
    @econphd
    객관적인 사례라고 제시한게
    다 주관적인 뇌피셜을 어찌합니까
    거기는 밤이라서 그러신거죠?
  • ?
    0011 2023.09.17 14:40
    @econphd
    객관적인 지표 가져오라고해서 가져오니까 다른 부가적인 정책이나 규제을 봐야한다면서 그냥 엉망이라고만 하면 누가 대화 할 생각 없는건가요 ㅋㅋ

    최소한 본인 발언이 객관적이라는 것을 증명하려면 최소한의 데이터는 가져와야합니다.

    본인이 말하는 기저효과도 결국 지표 보면 나옵니다

    경제성장률
    미국 2019 2.3% 2020 -3.4% 2021 5.9% 2022 2.1%
    한국 2019 2.2% 2020 -0.7% 2021 4.3% 2022 2.6%
  • ?
    김제비 2023.09.17 17:48
    @0011
    저는 원댓글에 동의하는데...일단 최근 경제성장률이 정책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지표라고 생각이 들어서요.
    이유가 딴건 아니고 한국 수출 20퍼 차지하던 반도체가 코로나때 거리두기로 인한 메모리 수요 폭증으로 업턴이 굉장히 오래갔고, 이제는 다운턴으로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데요..이런 단기적인 시장 변동사항에 한국정부의 정책이 능동적으로 영향끼칠 여지는 적다고 생각됩니다.
  • ?
    0011 2023.09.17 20:31
    @김제비
    코로나 이후 반도체 사이클로 경제성장률이 낮은거에 대해서는 이해하는데

    현 정부의 정책이 영향을 안 줬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현재 반도체는 하락세인 반면 자동차, 배터리 쪽은 상승세인데

    주요 시장인 러시아, 중국에 대한 정치적인 배제로 수출이 많이 줄어들었는데

    미국,일본과의 관계 개선으로 이득을 본게 있나요?

    미국에 기업이 미국에 막대한 규모의 제조 공장 투자를 했음에도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협상도 못했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소부장 유치시키겠다는걸 자랑스럽게 얘기하는거 보면 우리나라 정부인가 싶습니다.

    저도 중국에 대한 의존은 줄여야 한다 생각하고 실제로 서서히 줄어드는데도 갑자기 극단적으로 줄이길래 미국 일본과 얘기되서 뭔가 대책이 있을 줄 알았네요

    중국 무역수지
    https://www.yna.co.kr/view/GYH20230328000500044

    현대차 러이사 점유율
    &lt;a href="<a href="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9607" "="" target="_blank">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9607" target="_blank" rel="noopener"&gt;<a href="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9607" target="_blank">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9607
  • ?
    hahann 2023.09.17 10:50
    보여지는 것과 통계의 괴리감. 실제로는 난민과 전쟁 그리고 거지와 범죄가 판을 치는 중이라. 전세계가 난리.
  • ?
    가카 2023.09.17 12:42
    기레기가 문제다.
    윤두창 때 경제 씹창나도 태평성태
    문재인 때 지금 상황이면 나라 망한다고 옘병을 떨었겠지
  • ?
    겨울의검 2023.09.17 16:13
    2찍들은 지금이 태평성대인데 뭐가 걱정이겠어요.
  • ?
    놀부심보 2023.09.17 18:35
    배운 사람 의견 꼴 절대 못보는 꾸르 꼰대들ㅎㅎㅎ
  • ?
    akxh 2023.09.17 22:29
    코로나 시기 다른국가들 보다 한국은 선방했다 -> 지금 세계경제 성장률은 엉망인 나라의 반등일수도 있다, 기저효과일수도있다
    코로나 시기 한국이 재정 안풀고 경제성장률 선방한게 당연히 코로나 이후 재도약을 계획한건데
    세계추세를 못따라간다면 코로나 시절 선방한게 의미가 없어지네
  • ?
    ㄱㄴㄱㄴ 2023.09.17 23:49
    제조업의 나라 한국, 외교가 곧 세일즈인데 이번 정부의 외교적 성과는 수십개월 적자말고 뭐가 있나.
List of Articles
추천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비)추천 취소 가능합니다. 6
공지 정치글은 정치 게시판에 작성해주세요.
9 gif 애니메이션의 왕 3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563
5 gif 올림픽 역사상 최고의 업셋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820
0 jpg 할머니 계신 납골당에 갔다가 놀라운 광경을 보았다 2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627
1 gif 상남자식 물 온도 체크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498
0 jpg 언뜻 보면 무섭지만 실제로도 중도포기 속출한다는 관광지 3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733
0 gif 아시안게임 트램펄린 여자 결승에서 위험한 상황 2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565
1 gif 입이 큰 걸로 기네스에 오른 사람 1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420
5 jpg 중국인 : 한국을 이긴다고???ㅋㅋㅋㅋㅋ 그것도 이창호 상대로???ㅋㅋㅋㅋㅋ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730
6 jpg 조석 작가의 작화 표현력 2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517
1 jpg AI야 거북선 대환제국 모드로 그려줘 3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424
0 gif 중국 탁구 세계랭킹 1위에게 벽을 느낀 장우진 선수 2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401
4 jpgif 투스젬 하러 갔다가 고등학생으로 오해받은 우정잉 1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528
3 gif 외국 선수들 사이에서 '몬스터'라는 별명으로 불린다는 우리나라 펜싱 선수 3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522
1 jpgif 얼마 전에 한국에 오신 무야호 할아버지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090
0 gif 한국야구의 미래 1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174
0 jpg 베트남 한인타운 통수사건 1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284
1 gif 세리머니 하다 금메달 놓친 롤러스케이트 2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956
-2 gif 한때 일본을 보고 비웃었던 장면 5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472
2 jpg 탁구 전지희 선수 한국 생활 11주년 기념 인스타 1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092
8 gif 21년만에 아시안게임 탁구 여자 복식 금메달 newfile 날아라호떡 6시간 전 7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8233 Next
/ 8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