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067 추천 8 댓글 13
Extra Form

1.jpg

 

2.jpg

 

3.jpg

 

4.jpg

 

카라 듄 역할 했던 배우를 지원한 것도 이러한 이유

  • ?
    에리지 2024.02.07 18:14
    저 정도면 정신병인데
  • ?
    eztang 2024.02.07 18:04
    와.. 시발
  • ?
    에리지 2024.02.07 18:14
    저 정도면 정신병인데
  • ?
    hm 2024.02.07 19:47
    디즈니는 아이들에게 영향을 많이 주고
    아이들은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게 중요하니까
    괜찮은 거 같은데
    교육적 측면에서 맨날 예쁘고 잘생긴 거 위주로 만드는 것 보다 나을수도
    저런 큰회사가 하나정돈 있어도 괜찮은듯
  • ?
    아이라이 2024.02.08 05:30
    @hm
    저런 강제적인 결과의 평등이 공산주의와 뭐가 다르죠?
  • ?
    hm 2024.02.08 18:18
    @아이라이
    강제적인 건 옳지 못하죠
    그런데, 수많은 대형 컨텐츠 제작사 중에
    1개의 기업 정도가 저러는 건 강제적이라고 볼 수 없죠
    우리는 다른 기업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선택지가 있으니까요
    만약,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했다면 강제적이라고 할 수 있죠
    또, 대부분의 제작사가 같은 행태라면 역시 담합같이 강제적이라고 판단하고 막아야겠죠
    하지만, 제가 얘기한 건 다른 선택지가 어느 정도 있는 상황에서는 괜찮지 않을까 하는 거죠

    또, 이념으로써 강제적인 결과의 평등을 추구하는 이념은 틀린 이념이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 아이들 교육 차원에서는 강제적으로 다양성을 공급할 필요는 있는 거 같아요
    예를들면, 담배든 술이든 성인 컨텐츠든 성인에게 강제적으로 못하게 하는 건 가능하면 안하는 게 좋지만
    아이들에게는 좀 다르다고 생각해요, 강제적으로 못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건 공산주의가 아니죠
    실제로 아이들이 많이 보는 컨텐츠의 경우에 일반 작품처럼 자유롭게 두면
    소외된 그룹들을 보기 어렵고 주류 그룹들이 나오는 작품만 보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거죠, 저는.
    지금은 서양 백인 문화가 세계의 주류니까, 백설공주든 신데렐라든 백인 미남, 미녀만 주구장창 보겠죠
    우리나라 아이들이 흑인이나 인도 캐릭터를 볼일이 있을까요?
    그렇게 자란 아이들이 백인과 다른 인종을 똑같이 대할 수 있을까요?
    아이들의 교육에는 그게 안좋게 작용할 수 있다고 봅니다
    좀 더 다양한 인종이나 다양한 그룹을 볼 수 있어야 된다고 봐요
    그런 이념이 옳다는 게 아니라, 그냥 아이들에게 노출되는 컨텐츠의 밸런스를 맞추는 차원에서
    긍정적이라고 보는거죠
  • ?
    아이라이 2024.02.08 21:20
    @hm
    서양 백인 문화가 주류라면 다른인종이 주류가 될수 있게 흥행거리를 키워야죠. 강제로 다른인종으로 대체하는게 아니라.
    국가는 안되고 기업은 되는 이유가 뭐죠?
    다양성과 강제성이 양립되는 단어라고 생각하세요? 해로운것 남에게 피해를 주는것을 강제적으로 못하게 하는것, 우린 그걸 법과 제도라고하죠. 다양성을 그렇게 하는게 다양성이라 할수 있나요? 소외된 그룹을 왜 강제로 봐야하죠? 그걸 강제로 하는게 진짜로 정의롭고 옳은 일이라서? 다양성을 보장하는거랑 강제하는거랑 전혀 다른얘기입니다.
    한류,Kpop, 일본 애니, 한국드라마처럼 세계적으로 팔리는 컨텐츠를 경제적 논리로 서서히 늘려야지 백인이 주류라고 백인 지분을 강제로 뺏아 오는게 진짜 옳은 일인가요? 그게 부자들 돈뺏어서 가난한사람 주는 공산주의랑 다른가요? 결과적 평등, 전 그게 공산주의보다 더위험한거같은데
  • ?
    hm 2024.02.09 22:33
    @아이라이
    서양 백인 문화가 주류라고 지적한 부분은
    그걸 고치는 방법을 얘기한 게 아니라 현실적인 상황을 얘기한 겁니다
    당연히 흥행거리를 키워서 고쳐야 하는데 그 전에 고쳐지기 전에
    아이들에게 편향되게 노출될 수 있으니, 강제로 아이들에게 노출되는 밸런스를 맞추자는 거죠
    저는 오로지 아이들 교육 관점에서 얘기한 거고
    그런 현실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얘길하는 게 아니에요
    제 얘기의 논점과 좀 빗나가는 얘길 하시네요

    국가는 안되고 기업은 되는 이유는
    꼭 국가나 기업을 구분한게 아니고 님이 강제적으로 그러면 안된다고 하셔서
    만약, 국가 차원에서 법이나 정책으로 강제하는 거면 강제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일부 기업의 정책이 그런거면 우리에겐 다른 기업이라는 선택지가 있으니 강제적이라고 볼 순 없다
    이 얘길 한거에요
    디즈니의 정책이 마음에 안들면 다른 제작사 작품을 보면 되니까, 강제적이라고 할 순 없다는 거죠
    만약, 정부 정책이면 나라를 쉽게 바꿀순 없으니 강제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강제라는 건 총이나 칼을 들이대고 하게 하는 건데,
    디즈니의 정책에 강제적인 부분이 있다고 해서 사회 전체에서 볼 때 강제적이라고 하긴 어렵다는 거에요
    그걸 구분하시라는 겁니다

    이해하기 어려워 하시는 것 같아서 좀 더 보충 설명하면
    예를 들어,
    기독교 신자가 기독교만이 옳고 유일한 신이라고 얘기하는 건,
    종교의 자유를 없애는 행동인데
    사회 전체에서 볼 때는, 국가가 정책적으로 그렇게 하는 게 아닌 이상에야
    기독교인들이 뭔 얘길 하든 국가 전체에서는 종교의 자유가 있는 거에요

    님은 마치 기독교인들한테 너네가 기독교의 신이 유일신이라고 하는 건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동이니까 불법이다 라고 하는 거에요
    그건 틀려요,
    만약, 기독교 인들이 말을 넘어서 총 칼을 들고 그러면 강제적인거고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건데
    말만 그렇게 하는 건 강제성이 없어요
    그리고, 자기 교회 내에서 다른 종교를 못믿게 하는 그런 규칙을 만든다고 해서
    그게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게 아니에요, 그 교회 안나가면 되잖아요, 총칼들고 협박하는 게 아니니까
    강제가 아니에요

    거기에다 대고, 국가는 안되고 왜 교회는 되냐 라고 하는 건 문맥을 놓치고 계신겁니다

    마찬가지로, 디즈니라는 특정 기업의 정책이나 기업의 규칙이
    강제적으로 결과의 평등을 추구한다고 하더라도
    그게 국가 정책이 아니라면, 사회 전체에서 무슨 강제성을 갖진 않아요
    그 회사 작품 안보면 되니까요

    즉, 님은 어떤 강제적으로 결과의 평등을 추구한다는 이념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셔서
    강제적이면 안된다고 얘기하시는 건데
    제가 얘기하고 싶은 것은,

    1. [ 강제적으로 ] 결과의 평등을 추구하는 이념을 국가 차원에서 혹은 총칼을 들고 2. [ 강제로 ] 시키는 거면
    문제가 있지만, 기업에서 그런 1. [강제적인] 이념을 채택하는 건 사회적으로 2. [ 강제성 ]이 없다는 거에요

    위 문장에서 `강제`라는 같은 어휘를 썼지만, 1번의 `강제`와, 2번의 `강제`는 의미가 달라요
    다른 걸 얘기하는 거에요
    저는 2번의 의미로 `강제성`이 없다는 얘길 하는 거에요
    님은 1,2번 구분없이 강제라는 단어에 반박을 하신 거고요
  • ?
    아이라이 2024.02.09 22:57
    @hm
    국가와 기업을 구별하려고 하시는건 알겠는데, 애초에 다양성을 강제한다는게, 법과 제도가 아닌 기업이나 개인이라도 저는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모순이에요.
    종교 유일신 이야기를 하시는데 그건 ’자기들만이 옳고 다른건 그르다‘ 라는 기본전제를 까는거고 강제성과 다양성은 그것과는 다르다는 이야기를 하는겁니다. 다양한게 강제될수 가 없어요. 반찬 골고루먹어라 이런 의미와는 다릅니다. 다양성, 소수문화, 소수의 의견 이걸 다 존중하며 다양성을 ’보장‘ 해야하는건데 그걸 강제하는 순간 다양성이라는 게 의미가 없죠. 그 자체도 모순적이고 말이 안되는데 더더욱 결과의 평등을 강제하는건 더 말이 안되는거죠.
  • ?
    hm 2024.02.10 00:31
    @아이라이
    계속 제 논점이 아닌 딴 얘길 하시네요

    제 얘기는
    어떤 이념이든 생각이든 그게 옳든 그르든 상관없이 그냥 결과만 봤을 때
    아이들이 보는 작품에 소수그룹이 많이 등장한다면 그게 아이들 교육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거에요

    제가 저런 주장을 하니까 님이 반박한 논리가
    강제적인 이념이라 공산주의 같다고 한 거잖아요

    그래서, 제가 얘기한 게
    정부가 공산주의 같은 정책을 세우는 거랑
    일부 기업의 내규가 공산주의 느낌이 나는 거랑은 구분해야 한다고 한 거에요
    왜냐하면, 우리 사회의 규칙이 아니라, 특정 기업이라는 일부 집단에 적용되는 규칙이니까
    종교 유일신 예도 그래서 든거에요, 종교 집단의 규칙과 사회 전체의 규칙은 다르다는 얘길할려고

    그러니까, 지금 다시 반박을 하시는 게
    유일신 얘기와는 다르다 틀린 이념이다 라고 하시는 거에요

    제 얘기는 그 이념이 틀리든 말든, 그 결과값이 아이들 교육에 좋다는 거에요
    그리고, 이념이 틀렸어도 그게 정부 정책같은 사회 전체의 규칙이 아니고
    기업의 내규면 상관없다는 거죠

    아니 왜 논점을 자꾸 벗어나서 하고 싶은 얘기만 하시나요
    다양성을 강제하든, 결과적 평등을 추구하든
    이런 이념이 옳은지 그른지를 얘기하고 있는게 아니에요, 저는
    이게 틀린 이념이라도 상관없다는 얘길하고 있는 거에요

    국가 정책이 틀린 이념을 기반으로 하면 문제가 되지만
    일부 기업의 내규가 틀린 이념을 기반으로 해도 상관없다는 거에요
    그 회사 제품 안쓰면 되니까

    그래서 종교 예를 든거에요,
    유일신을 추구하는 종교는 서로가 자기만 옳다는 얘길하고 있는 거니까
    누군가는 틀렸다는 거잖아요, 이슬람과 기독교 둘 중 하나는 잘못된 생각을 하는 거잖아요
    그래도 우리 사회 전체에서는 상관없잖아요, 틀린 얘기로 종교를 만들어도
    종교의 자유라는 큰 흐름에서 다 허용되잖아요, 사이비 같이 어떤 선만 넘지 않으면
    마찬가지로 기업이 어떤 잘못된 생각을 기반으로 회사 정책을 세워도 사회에서는 허용된다는 거에요
    어떤 선만 넘지 않으면
    근데 자꾸만 디즈니의 이념이 잘못됐다는 얘기만 하시면 논점이 다른 얘길하시는 거에요

    -----

    이건 논점과는 다른 얘기지만 그래도 님의 논리가 이해가 가지 않아서
    논점이 다르다는 걸 명확하게 구분해 두고 얘기해보면

    1. 님 댓글 내용중에
    [ 종교 유일신 이야기를 하시는데
    그건 ’자기들만이 옳고 다른건 그르다‘ 라는 기본전제를 까는거고
    강제성과 다양성은 그것과는 다르다는 이야기를 하는겁니다 ]

    - 일단 이게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가네요
    기본전제를 까는게 무슨 상관이죠

    제가 예시를 든 내용은
    종교 유일신 -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내용
    디즈니 정책 - 공산주의 같은 내용

    저는 어떤 형태든 어쨌든 지금 우리 사회 정책에 반하는 틀린 생각들이라는 공통점을 얘기한건데
    종교는 기본전제를 깔았으니 다르다는 게 무슨 말이죠?
    기본전제를 깔았든 안깔았든 우리 사회 정책에 반하는 건 똑같잖아요
    무슨 얘길 하고 싶으신 건지 잘 모르겠네요

    2. 또,
    [ 다양한게 강제될수 가 없어요.
    반찬 골고루먹어라 이런 의미와는 다릅니다.
    다양성, 소수문화, 소수의 의견 이걸 다 존중하며 다양성을 ’보장‘ 해야하는건데
    그걸 강제하는 순간 다양성이라는 게 의미가 없죠.
    그 자체도 모순적이고 말이 안되는데 ]

    이것도 님 주장이나 근거가 애매해요
    다양한게 왜 강제될 수가 없나요, 왜 모순인가요
    반찬 골고루 먹어라와 다르다는 게 이상합니다

    일단, 다양한게 강제될 수 있어요, 강제하면 강제되는 거지 안 될 이유가 없죠
    반찬을 강제로 골고루 먹게 해도 의미가 있듯이
    다양성을 강제로 주는 게 의미가 있어요

    아이들이 맨날 만화만 보면 강제로 딴 거 하게 하잖아요, 다른 것도 다양하게 하라고
    이게 왜 의미가 없어요, 이게 반찬 강제로 골고루 먹게하는 거랑 뭐가 달라요

    강제로 하면 당연히 문제가 많죠
    결과의 평등을 강제하는 것을 보면 효과도 없고 문제가 너무 많아서 안 하느니만 못하죠
    그런데, 문제가 많고 효과가 없는 거랑
    모순되거나 의미가 없는 거랑은 달라요

    분명히 다양성은 강제될 수 있고, 반찬 골고루 먹이는 것과 같고
    다양성을 강제한다고 의미가 없어지지 않고, 모순적이지도 않아요

    당연히 결과의 평등을 추구하는 건 틀린 이념이지만
    디즈니라는 회사 하나가 그런 틀린 이념으로 정책을 만들어도 국가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고
    결과 값을 봤을 때, 다양한 작품이 나온다면 아이들 교육에 좋다는 거에요
  • ?
    김폭달 2024.02.07 20:03
    크리티컬 발언 큰거 하나 있어서 짤린건데
  • ?
    항문에알보칠 2024.02.07 23:38
    ㅈ같은 LGBTQ
  • profile
    clone 2024.02.08 11:12
    저기 과소평가 그룹의 기준은 또 어떻게 정하는걸까?
List of Articles
추천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 jpg 과일 유통구조 비판하는 애플망고 사장님 5 newfile 날아라호떡 1시간 전 1258
1 jpg 120m 다리 아래로 추락하고도 살아난 소년 3 newfile 날아라호떡 1시간 전 1066
6/-1 jpg 폐허 유적지에 설치된 물건 newfile 날아라호떡 1시간 전 1151
3 jpg 동안으로 유명하신 가천대 총장 최근 사진 newfile 날아라호떡 1시간 전 1154
4 jpg 난동 취객 뺨때린 경찰 '해임' 6 newfile 날아라호떡 2시간 전 1424
2 gif 22살 짐 캐리 newfile 날아라호떡 2시간 전 1165
2 jpg 공포의 빨간마스크 만화 1 newfile 날아라호떡 2시간 전 1031
1/-2 jpg 이번에도 실망시키지 않는 디즈니 3 newfile 날아라호떡 2시간 전 1496
5 gif 명동에서 외국인 K-드라마 여주인공 만들어주기 2 newfile 날아라호떡 2시간 전 1264
4 jpg 드디어 버그 픽스 됐다는 윈도우 패치 4 newfile 날아라호떡 2시간 전 1170
1 jpg 대작 게임 가격이 계속 비싸지는 이유? 스퀘어에닉스 이사 출신이 진단하는 현 AAA 게임의 위기 newfile 날아라호떡 2시간 전 809
2 jpg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 승리 이후 카이리 어빙 & 루카 돈치치 인터뷰 일부 2 newfile 날아라호떡 5시간 전 1239
12/-1 jpg "여학생 1년 일찍 입학시키면 출산율 높아질것" 18 newfile T1마흔된코난 6시간 전 2640
0 jpg 부산에서 부탄가스 5,600개 폭발 13 newfile 날아라호떡 6시간 전 2500
2/-1 jpg 뉴진스 X 배틀그라운드 콜라보 newfile 날아라호떡 6시간 전 1333
2/-1 jpg 애플TV+ 오리지널 <파친코 시즌2> 8월 23일 공개 확정 newfile 날아라호떡 7시간 전 1199
4 jpg 마른오징어를 보니 전남친이 사무치게 그리워 4 newfile 날아라호떡 7시간 전 2941
4 jpg 오싹오싹한 렌즈삽입술 후기 4 newfile 날아라호떡 7시간 전 2526
3 jpg 당근에서 직원 잘못 구한 사장님 6 newfile 날아라호떡 7시간 전 2479
5/-1 jpg 공항이 많은 나라 순위 2 newfile 날아라호떡 7시간 전 19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134 Next
/ 9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