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3854 추천 18 댓글 14
Extra Form

1.jpg

 

  • ?
    아클라지 2024.04.24 16:58
    @nanta
    운7기3은 노력을 30 한 사람들이 100의 성공을 설명할 때 쓰는 말인데
    어느새부터인가 50의 성공을 바라면서 노력은 3정도 하는 사람이 세상은 운이니까 노력 더 할 필요 없다고 폄하하는 말이 되어버린듯..
  • ?
    초록이 2024.04.25 01:45
    노력하지 않아도 잘 사는 세상을 만들어줘야 될거 아니냐고
    희대의 개소리를 힐링 멘트랍시고 방송에서 외치던 김제동은 저 얘기를 들으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 ?
    섹무새 2024.04.24 15:30
    그런 이야기도 저양반 시대 이야깆
    요즘은 그런 노오력도 돈으로 하는거 아니야?
  • ?
    Dealer 2024.04.24 16:29
    그거 노력 아니야
    공부는 더더욱 아니고
  • ?
    nanta 2024.04.24 16:54
    내 경험도 그렇고 해외 연구 결과도 그렇고 유명 CEO도 그렇고 운7기3 이거 맞는 말이라더라..
  • ?
    아클라지 2024.04.24 16:58
    @nanta
    운7기3은 노력을 30 한 사람들이 100의 성공을 설명할 때 쓰는 말인데
    어느새부터인가 50의 성공을 바라면서 노력은 3정도 하는 사람이 세상은 운이니까 노력 더 할 필요 없다고 폄하하는 말이 되어버린듯..
  • ?
    아클라지 2024.04.24 16:55
    예전에는 공부를 열심히하면 대접받을 기회가 있었는데
    이제는 공부를 아무리 해도 대접받기 힘든 시대가 되어버렸다.

    공부가 노력하는 방법 중 그나마 공정하고 그나마 정직한 편인데 그조차 길이 닫혀버린다.

    이제 공부길이 막혔으니 돈도 빽도 없다면
    기상천외한 노력으로 아무도 안 가본 길을 가던가
    불법적인 방법을 모색하지 않으면 대접을 받을 생각을 하지 않는것이 좋다.

    이 사실을 꿰뚫어본 조국 선생님이 가재 붕어 개구리가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면 된다고 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이 가재 붕어 개구리의 대접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이 비극이다.
  • profile
    한화 이글스고라니가고라니 2024.04.24 17:54
    그래서
    명문대 나온 애들 정시 퇴근할 때
    나는 야근하고 있잖아 ㅠ 두배로 일한다고
  • ?
    asdfkkkkk 2024.04.24 21:58
    스타트업 대표 들은 거의 다 저런 생각이고, 회사 생활 하다보니 절대적으로 공감함. 회사 교육에 초청한 스푼라디오 대표도 똑같은 강의했지... 본인이 지방대 출신이지만 살면서 겪어온 경험으로 인해, 지잡대 4.5 자격증 다수 토익 900보단 학점 3인 서울대생 뽑는다 함.
  • ?
    초록이 2024.04.25 01:45
    노력하지 않아도 잘 사는 세상을 만들어줘야 될거 아니냐고
    희대의 개소리를 힐링 멘트랍시고 방송에서 외치던 김제동은 저 얘기를 들으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 ?
    hm 2024.04.25 12:35
    저건 노력하면 좋은 결과가 따른다는 걸 전제로 하고 있는데
    현실에 맞지 않음
    공부도 재능의 영향이 크다는 게 정설이고
    사회적인 성공과 노력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건 다 아는 얘긴데

    그냥,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이
    나는 엄청난 노력을 했다 라고 자기 자랑하는 얘기인 거 같음

    노력은 굉장히 중요하고 많은 장점이 있는 좋은 가치지만
    학벌 좋은 사람보다 두배 더 노력한다고 항상 좋은 결과가 따르는 건 아님
  • ?
    아클라지 2024.04.29 11:05
    @hm
    세상은 결정론적 세계가 아니라 확률론적 세계라는걸 이해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내가 A라는 것을 하면 B가 (보장) 된다
    가 아니라
    내가 A라는 것을 하면 B가 될 확률이 x% 증가한다.
    인거죠.

    B를 바라는 사람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액션이 있는데
    그중에 가성비를 따져가며 선택하는 것이고
    당연히 확실한 보상같은건 없습니다.
  • ?
    hm 2024.04.29 11:59
    @아클라지
    제가 틀렸고 본인의 생각이 옳다는 확신이 있으신 것 같은데, 조금 오만입니다
    결정론적 세계가 아니라 확률론적 세계라는 게 진리가 아니라는 거에요
    님의 개인 의견인거지

    왜 그게 개인 의견이냐 하면, 확률론적 세계라는 건 과거 이론이라는 거에요
    현재 연구가 진행되면서 새롭게 다른 의견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트렌드를 모르시면서 너무 자신의 상식에 확신을 가지셨네요

    이해를 못하실 것 같아서 예를 조금 들어드리면,
    민주주의 자유 국가에서는 과거 신분 사회와 다르게 계급이 없다
    이게 기존의 상식인데, 요즘은 이제 신분이 없는 줄 알았는데
    민주주의 자유 국가에서도 고착화된 신분이 있더라, 재산이나 학벌 같은게
    대물림 되더라 이런 이야기가 나와요
    물론, 현대 사회에서 신분이라는 개념이 공식적으로 있는 건 아니지만
    과연 현대 사회는 정말 신분이 없을까? 하면 실질적으로는 계급이 나뉘어
    있을 수 있다는 거죠

    이런 느낌으로, 세상은 확률론적 세계고 인간은 자유롭다는 이론이
    과거에는 상식이었는데, 좀 구식 이론이라는 거에요, 현대 사회는 과거와 달리 계급이 없다는 것처럼.
    정말 모든 게 확률일까, 실질적으로는 재능, 재산 등으로 인해서 결과가 정해져 있는 게 아닐까?
    하는 거죠

    물론, 과거의 신분 제도와 현재의 상류층 고착화 같은 게 완전히 똑같은 건 아니지만,
    현대의 재산, 학력 대물림이나, 상류층 고착화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사람한테
    왕정이 무너지고 민주주의가 채택되면서
    신분 제도 같은 건 없어졌다는 걸 이해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라고 하는 건
    너무 뻔한 과거 얘기를 한달까, 조금 과거에 묻혀 사시는 느낌이에요
    민주주의가 채택되고 신분이 철폐된 걸 모르는 사람은 없는 너무 상식이잖아요

    마찬가지로, 결정론이라는 건 운명론 같이 미신에 가까운 개념이잖아요
    제가 그런 걸 몰라서 얘길 하는 게 아니라,
    운명론 같은게 왕정 같이 과거 유물이 되고, 확률론이 민주주의 같이 현대에 상식이 되었다면
    요즘은, 현대의 상식이 틀렸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에요
    그 부분을 지적한 건데, 과거 조선시대 왕정 얘길 하는 것처럼 결정론,
    운명론을 얘기한다고 생각하시는 건 상황을 잘 모르시는 겁니다

    상황은 설명을 좀 드렸으니, 구체적으로 제가 무슨 얘길 한 건지를 설명드릴게요

    확률론적 세계라는 걸 모르고 결정론을 얘기한 게 아니라,
    확률론적 세계라는 건 아는데, 그건 어쩌면 우리의 착각일 수 있다는
    새로운 현대 시각을 얘기하는 거에요

    이해하기 쉽게 님이 든 예시로 말씀드리면,

    1. A라는 것을 하면 B가 될 확률이 x% 증가할 때,

    2. B가 될 확률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조건은 A뿐만이 아니고, C,D,E 가 더 있다
    A=노력, C=재능, D=집안 재력 등등

    3. 현재 연구돼서 알려진 바에 따르면, A 보다는 다른 조건이 B가 될 확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그 차이가 매우커서 어쩌면, A 라는 조건은 실제적인 영향이 없을 수 있다

    4. A는 개인이 바꿀 수 있지만, C,D,E 등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은 개인이 바꿀 수 없이 정해져 있다

    5. 여기서, 개인이 바꿀 수 없는 C,D,E 등의 조건이 너무 나빠서
    A라는 조건과 상관없이 이미 B가 될 확률이 0%에 수렴하는 상황이라면
    그런, 사람들에게 A라는 조건의 중요성을 얘기하는 건 오히려 잔인한 행동이 될 수 있다

    라는 얘기에요
    과거에는 A 조건이 중요하다, 노력하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하기 나름이다
    라는 게 정설이었죠, 근데 이게 과거 이론이에요, 요즘은 노력충이라는 말까지 생겼어요
    왜 그러냐면,
    사람들이 계속 연구하다 보니, A 조건, 즉, 노력이 생각보다 영향력이 적었던 거에요,
    재능이나, 돈 같은 다른 조건들이 너무 영향이 큰 거에요
    그래서, 확률론이 완전히 틀렸다는 건 아니지만, 생각보다 인간은 자유롭지 않을 수 있다
    그 확률이라는 것도 태어나는 순간, 재능, 집안이 정해지면서 그 운명도 같이 정해져 버린 게 아닐까?
    하는게 요즘 이론인 거에요
    확률은 확률인데, 그 확률이 항상 모든 일에 적용되는 게 아니라,
    어느 집안에서 어떤 재능으로 태어날지 까지가 확률인거고
    그게 확률로 정해지면, 그 후엔 모든게 결정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거죠

    물론, 님 생각이 맞는지, 제 생각이 맞는지는 얘기해볼 여지가 있죠, 아직 확정된 이론들은 아니니까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님하고 더 논쟁해 보고 싶은 생각이 있네요,
    다만, 요즘 얘기하는데, 결정론, 확률론 같이 너무 과거에 나오던 얘기를 하시면서,
    그 과거 이론을 알려주려고 하시니까, 좀 문맥적인 상황을 설명드리느라
    글이 너무 길어져버려서, 본론은 다 말하지 못하겠네요
  • ?
    88 2024.04.26 12:18
    성공에서 운이 80퍼라고 하는데, 그중 절반인 40퍼가 태어난 장소임. 부모환경이 아님 5퍼 정도래. 우리는 같은 한국에 태어났다는 걸 알아야함
List of Articles
추천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 jpg 한국인들만 알아 볼 수 있던 리뷰 근황 4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530
13 jpgif 시각장애인 선수가 달리기 하는법 2 file 날아라호떡 2024.05.28 1969
12 jpg 강형욱 회사 퇴사자들이 마트 다녀온 후기 3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814
15 jpg 진상 병원 환자가 조용해진 이유 5 file 날아라호떡 2024.05.28 2301
5 jpg 디테일은 엉성한데 얻어 걸리는 국군 8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291
5 avi 이빨 뽑고 온 시바 1 날아라호떡 2024.05.28 1804
9 jpg 소개팅 에프터 거절 후 돈 보내라는 소개팅남 10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3225
5 jpg 삼양에서 33년만에 생산 중단되는 라면 16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3680
17 jpg 일본 사케의 대체품 20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4132
14 jpg 해외에서 호평받은 현대 포니 쿠페 16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3970
13 jpg 통신사에서 어영부영 하다가 시장 뺏긴 사례 3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3081
7/-1 jpg 여자는.. 여자가 잘 팬다.. 6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3758
9 jpg 서울대 N번방 vs 여성시대 N번방 기사량 차이 10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005
4/-2 avi 조회수 1억 찍은 자전거로 눈에 하트 그리기 4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421
10 jpg 마약은 한 번 손대면 끝이라는 것을 보여준 사례 3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982
3 jpg 현재 한국에서 자강두천하는 현대와 테슬라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681
4 jpg 자폐를 갖고 있었던 군대 후임 썰 5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089
11 avi 사람들을 감탄하게 만든 자연현상 2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557
6 jpg 멸종위기종 고라니 국내 분포도 10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704
11 jpg 정신과 전문의가 50년간 일하면서 느낀 인생 3 file 파리 생제르맹키레네 2024.05.28 26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9207 Next
/ 9207